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많은 경험들을 쌓으셨는지 궁금합니다. 2022년 잘 보내고, 2023년을 맞이 합시다! 새해가 되면 여러 가지 정책들을 내놓고 바뀌는 것들이 많은데요? 저출산 국가인 만큼 출산을 응원하고자 다양한 지원금이 지급되고 있는데요 2023년 출산혜택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첫만남 이용권
올해 2022년 첫 시행한 첫 만남 이용권은 22년생 영유아에게 지급되는 바우처입니다. 임신 후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국민행복카드입니다. 사용처는 유흥, 도박성을 뺀 다양한 업종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바우처는 카드 포인트 개념이라 보시면되고,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이용도 가능합니다. 한아이당 200만 원 지급으로 사용기한은 1년입니다. 다태아는 400만 원부터 지급이 됩니다.

2. 부모급여, 부모수당 (2023년 1월 시행 예정)
달만 2세 영유아 아이 부모님들께 35만 원~ 70만 원까지 개월 수에 따라 급여가 지급됩니다. 아직 시행 전이고 아동 수당이 빠지고 시행된다라는 말도 있지만 아직은 23년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3. 아동수당
기존에도 있던 아동수당은 0세에서 7세까지 지원을 해줬고, 현재 23년부터는 만 8세까지 지원금이 나오게 됩니다. 한아이당 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저희 아이들도 아동 수당을 받고 있습니다. 날짜는 25일이며, 업무일 제외 일들은 하루, 2일 기준으로 지급 날짜가 바뀔 수 있습니다.

4. 지역별 출산지원금
지역마다 너무 달라서 출산 후 출생신고 각 지역별 주민센터에서 안내받기를 권합니다. 어느 지역은 돈으로 얼마, 어느 지역은 육아용품으로 지역마다 다양한 혜택들이 있습니다. 저희 지역은 1인 100만 원이면, 둥이 출산인 저는 150만 원? 정도로 줄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키우는데 들어가는 건 2배인데 왜 지원금은 줄어드는 건지 속상하네요

쌍둥이 키우는 엄마로서 셋째는 없지만 지원금이 많이 좋아졌구나 싶은 것들도 있네요 ㅠㅠ
아이들 키우기 힘든 나라라고 하잖아요 꼭 다양한 혜택 받아 육아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쉬는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애드핏 심사 블로그 개설 5일 만에 승인 (4) | 2022.12.20 |
---|---|
홈택스 간단히 개인사업자 등록 방법 (0) | 2022.12.20 |
은행 포인트를 현금으로 은행어플로 바로 받아가세요 (3) | 2022.12.18 |
연말 자동차세 조회부터 납부 방법, 기간, 연납신청까지 알아보자 (3) | 2022.12.15 |
초보 주식러 소액 주식 '미니스탁'어플 사용후기 (0) | 2022.12.14 |